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청년도약계좌 금리 및 가입대상,지원내용

by Balance 2023. 6. 15.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금리 가입대상 지원내용

청년도약계좌 금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은행마다 최저 3.8%에서 우대금리 적용 시 최대 6%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이자를 더해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의 금액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만 19세~만 34세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계산 시 빠집니다. 군대를 2년 갔다 왔다면 만 36세도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직전 3년간 1회 이상 이자,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한 경우 가입할 수 없습니다.

  • 개인소득·가구소득 요건을 충족한 만 19세~만 34세 청년
  •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연령계산 시 미반영
  • 직전 3년간 1회 이상 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2천만 원 초과 시 가입 제한

● 개인소득

개인소득의 경우 2022년 1월~12월까지 총급여가 6,000만 윈 이하(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기준 4,8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을 지급받고 이자에 대한 비과세를 적용받지만 총급여가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기준 4,800만 원 초과 6,3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없이 이자에 대한 비과세만 적용됩니다.

  • '22. 1월~12월까지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
    • 정부기여금 지급 O 비과세 적용 O
  • '22. 1월~12월까지 총 급여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
    • 정부기여금 지급 X 비과세 적용 O

2023년 6월에 가입신청을 하면 2022년의 소득이 확정되기 전이기 때문에 6월 가입자는 2021년 1윌~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 및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가입일부터 1년 주기로 개인소득을 확인해 기여금을 조정하게 됩니다.

● 가구소득

가구소득의 경우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구원은 신청자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자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 신청자 본인 포함 가구원 소득의 합이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 가구원은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 기준으로 판단

2022년 1월~12월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2021년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로 판단하고 확정 이후에는 2022년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로 판단합니다.

《 2021년 기준중위소득 180% 》

 

가구원 수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3,290,095원
2인 5,558,542원
3인 7,171,110원
4인 8,777,322원
5인 10,363,271원
6인 11,931,485원

《 2022년 기준중위소득 180% 》

 

가구원 수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3,500,661원
2인 5,868,153원
3인 7,550,461원
4인 9,217,944원
5인 10,844,127원
6인 12,432,607원

 

 


저소득층 청년을 위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의 복지ㆍ고용 지원상품 등은 동시에 가입할 수 있지만 사업목적이 비슷한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후나 중도해지 후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 금리적용

 

청년도약계좌는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과 신한,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은행까지 총 11개 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금리는 은행별로 최저 3.8%부터 우대금리 적용 시 최대 6%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고정금리에 2년 변동금리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금리로 적용되는 3년의 기본금리는 은행별로 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은행 4.5%, 대구/부산/경남은행 4.0%, 광주/전북은행 3.8%로 책정되었습니다. 은행별 소득 우대금리는 0.5%로 11개 은행 모두 동일하고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적용됩니다. 각 은행별 여러 조건을 달아 설정한 우대금리는 1.0%~1.7%기본금리에 소득·은행별 우대금리 합은 11개 은행 모두 6.0%로 동일합니다.

  • 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은행 : 기본금리 4.5%
    • 은행별 설정 우대금리 : 1.0%
  • 부산/대구/경남은행 : 기본금리 4.0%
    • 은행별 설정 우대금리 : 1.5%
  • 광주/전북은행 : 기본금리 3.8%
    • 은행별 설정 우대금리 : 1.7%
  • 소득 우대금리 : 11개 은행 모두 0.5%
  • 소득 우대금리 조건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 1,600만 원 이하
    •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 1,600만 원 이하

 

《 은행별 금리 》

 

은행 기본금리(3년 고정) 소득 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적금 담보대출 가산금리
농협 4.5% 0.5% 1.0% +0.9%
신한 4.5% 0.5% 1.0% +1.0%
우리 4.5% 0.5% 1.0% +1.0%
하나 4.5% 0.5% 1.0% +1.0%
기업 4.5% 0.5% 1.0% +0.6%
국민 4.5% 0.5% 1.0% +1.25%
대구 4.0% 0.5% 1.5% +1.0%
부산 4.0% 0.5% 1.5% +1.0%
광주 3.8% 0.5% 1.7% +1.2%
전북 3.8% 0.5% 1.7% +1.3%
경남 4.0% 0.5% 1.5% +1.2%

청년도약계좌를 담보로 대출 이용 시 은행별로 가산금리가 적용됩니다. 대출금리는 기본금리 + 대출시점에 확정된 우대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로 결정됩니다.

 

 

 

지원내용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납입을 하지 않아도 계좌는 유지되고 만기는 5년입니다. 개인소득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달라지고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개인소득이 연 2,400만 윈 이하면 매달 40만 원만 납부해도 6%의 매칭 비율을 적용해 매달 2만 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이 연 6,000만 원 이상 7,500만 원 이하라면 정부지원금 없이 비과세혜택만 받게 됩니다.

《 개인소득별 기여금 》

개인소득 본인
납입 한도
기여금
지급 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24,000원
3.600만원 이하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000원
4,8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000원
6,000만원 이하 4,8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000원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 - -

 

신청방법

 

청약도약계좌 신청방법은 자신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은행을 선택한 후 해당 은행의 앱에서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6월 15일부터 가입 신청이 가능하고 6월 15일~6월 21일까지는 출생 연도 기준 5부제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2023년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합니다.

 

★ 출생 연도 기준 5부제 ★

6월 15일(목) - 3, 8
6월 16일(금) - 4, 9
6월 19일(월) - 0, 5
6월 20일(화) - 1, 6
6월 21일(수) - 2, 7
6월 22일(목), 6월 23일(금) - 모두 가능


《 특별중도해지 》

청년도약계좌를 중도해지하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하지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면 정부기여금도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별중도해지 사유 ★

가입자의 사망·해외 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 최초 주택구입



청년도약계좌의 금리 및 지원대상, 지급액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매달 70만 원을 납입하면 5년 후 5천만 원이라는 목돈이 들어온다는 게 매력적인 제도가 될 거 같습니다. 기준에 해당하시는 분이라면 신청해 목돈 마련하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