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1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월급 빼고 전부 오르는 요즘시기에 청년들의 돈을 모으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2년간 1,200만 원이라는 목돈을 만들어주는 청년내일채움공제라는 사업을 정부에서 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다니는 청년이시라면 좋은 혜택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어떠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지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등 여러 가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정규직 취직한 청년들에 초기자산형성을 돕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청년.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장기근속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년간 근로자가 400만 원, 기업에서 400만 원, 정부가 400만 원을 적립하여 2년 뒤 1200만 원과 이자를 받게 돼 청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조건 .. 2023. 5. 6.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청년들이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로 월 1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으로 10만 원에서 최대 30만 원을 추가 납부해 주는 정부정책입니다. 5월에 시작되고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혜택 받아 가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 근로빈곤층 청년을 대상으로 생계수급자 등으로의 하락을 사전에 예방하고, 중간계층의 일하는 청년들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매달 최대 30만 원의 지원금은 지원해 주는 지원 정책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려면 연령, 소득기준, 가구소득, 가구.. 2023. 5. 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및 조건 2022년에 이어서 2023년에도 청년들의 취업을 위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은 정책이 다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22년엔 월 80만 원 x12개월 지급에서 23년엔 최초 1년은 월 60만 원 x12개월 지금 2년 근속 시 480만 원을 일시 지급하는 방법으로 바뀌었습니다. 2023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고 혜택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유지 시 최장 2년간 최대 1,200만 원을 지원하여 기업의 청년고용 확대를 지원하고, 취업애로청년들이 취업을 함으로써, 청년고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 2023. 5. 3.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조건 6월이면 우리나라 청년이라면 많이 기다리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됩니다. 금융위는 '6월 중 접수'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시기는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통장 가입을 생각하고 있는 분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지는 게 좋겠습니다. 6월에 가까워져 갈수록 관심이 많아지는 만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체적인 혜택부터 가입조건, 청년희망적금 통장 중복 여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 19세부터 34세까지 매달 일정 금액일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받을 수 있으며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까지 적용하여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가입 조건 청년도약.. 2023. 5. 3.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 노동법 개정 관련 정보를 보다 보면 흔히 '최저임금'과 '주휴수당'이 두 가지 용어를 보게 됩니다. '최저임금'이야 워낙 많이 들어본 용어라 다들 아시겠지만, '주휴수당'의 개념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항상 최저임금과 같이 나오는 용어 주휴수당이 무엇인지 조건과 계산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상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출근하기로 했는데 모두 출근했다면,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 출근을 하지 않았다 해도 하루치 임금은 주는 것이 '주휴수당'입니다. 조건 주휴수당에도 조건이 있습니다. 무조건 개근만 한다고 주휴수당을 주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근로자의 근로시.. 2023. 5. 2.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및 자격 서울시에서는 사회생활에 첫발을 내딛는 만 19세 청년에게 연 20만 원의 문화이용권을 제공하는 서울청년문화패스를 시작합니다. 이 문화이용권으로 연극, 뮤지컬, 무용, 클래식, 국악 등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및 자격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초 4월 30일에서 5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으니 빠르게 신청해서 혜택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서울청년문화패스란? 서울시에서 2004년생 만 19세 청년들에게 공연 관람을 할 수 있는 문화이용권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그동안 문화생활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스러웠던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서울청년문화패스 지원대상 2004년 이전 출생한 만 19세 청년. 신청 시점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또는 외국인등록대장상 서울에 거주하는 자. 건강보험.. 2023. 5. 2.